우리 교과서 25종 가운데 독도문제를 제대로 기술한 교과서가 겨우 6종에 그친 사실은 우리의 독도교육이 사실상 낙제수준임을 대변해 준다. 특히 전체 교과서의 76%인 19종이 독도 영유권에 관한 언급 없이 간단한 사진설명이나 지도로 처리했고 '독도'라는 단어조차 싣지 않은 교과서도 상당수에 달했다. 조사결과 독도문제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에 처음 등장했으나 전반적으로 내용이 매우 빈약했다.
고작 독도에 관한 설명 없이 단락 끝부분에 '일본의 관리와 국민들중에는 우리 영토인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일이 있다'는 주제를 제시, 토의과제로 다루도록 했다. 중학교에서도 사회교과서 10종 가운데 독도문제를 충분히 다룬 교과서는 중앙교육진흥연구소등 단 2종밖에 없었고 독도를 언급조차 하지 않은 교과서가 지학사등 4종에 달했다. 금성출판사 관계자는 "한-일 관계는 다루기가 애매해 독도문제를 서술하지 않고 각 지방의 특성과 자연환경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고교 한국지리에서는 영해와 영토를 가르치는 단락이 있는 때문인지 다행히 독도문제를 완전히 누락한 교과서는 없었으나 대체로 내용이 부실했다. 고교 한국지리 12종 가운데 비교적 내용이 충실한 교과서는 보진재출판사등 3종이었고 나머지 9종은 독도문제에 매우 인색했다. 대한교과서는 아무런 설명 없이 독도 사진 한장을 실었고 금성출판사도 지도에다 독도 표시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홀대현상은 청소년들에게 역사의식을 심어줘야 할 중-고교 국사교과서에서도 거의 똑같이 발견됐다.
일본의 독도 침탈행위가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된 중학교 국사와는 달리 고교 국사는 '간도와 독도' 단락에 '일제는 러-일 전쟁 중에 독도를 자기들의 영토에 편입시키는 불법행위를 저지르기도 하였다'고 짤막하게 기술했다. 고교 국사교과서에서는 독도문제가 1개 문장으로 처리된 반면 간도문제는 6개 문장에 걸쳐 자세하게 언급돼 대조를 이뤘다.
/특별기획취재팀 specials@sgt.co.kr 2002. 4. 25.세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