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고구려사 빼앗기

▶ 중국 지안(集安)에 있는 장군총. 중국의 고구려 역사 재해석 움직임으로 광개토대왕 아니면 장수왕의 무덤이라는 설이 무색할 우려마저 생기고 있다.[중앙포토]
'동북공정' 연구목록 입수
中, 고조선부터 백두산 국경문제까지 다뤄
지난달 15일 중앙일보에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을 위한 '동북공정(東北工程)' 프로젝트가 보도된 이후 국내 사학계의 관심은 첨예화했다. '동북공정'프로젝트는 최근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를 감안, 중국이 고구려의 중국 역사 편입을 기정사실화함으로써 향후 야기될 수 있는 영토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시작된 것.
후속보도에 대한 기대와 함께 우리 정부와 학계의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대부분이었다. 본지는 동북공정의 1차 연구프로젝트 연구목록을 단독으로 입수, 공개한다. 국내 학계의 움직임과 정부 대응을 촉구하는 기고를 함께 싣는다.
고구려(BC 37~AD668)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시키기 위한 중국의 대형 프로젝트 '동북공정'의 제 1차연도 연구목록이 드러났다.
'동북공정' 프로젝트는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www.chinaborderland.com)이 지난해 2월 확정해 출범한 대형 연구 프로젝트다.
이번에 공개된 제1차연도 연구목록에 따르면 고구려를 중심으로 고조선.발해.조선 등은 물론 현재 한국의 경제.사회상황 전반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고구려의 영토 귀속뿐 아니라 그에 앞선 고조선은 물론 그 이후의 발해.조선, 현재 한국의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영토문제로 야기될 수 있는 전반의 사실을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번역과제는 주로 북한과 한국의 연구 실적과 경향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조.한학계의 고구려 연구 문헌(朝韓學界高句麗的硏究文獻)'을 비롯해 '조선.한국사학계의 고조선.부여연구논저선편(朝鮮韓國史學系的古朝鮮, 夫餘硏究論著選編)''중조변경사(中朝邊界史)' 등 총 7개가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고구려에 대한 중국의 대응 논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과제는 총 26건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흑룡강통사(黑龍江通史)'등 특정 지역의 영토 귀속문제를 다룬 연구를 비롯, ▶'황태자비1580년'등 고고학적 문제 ▶기자조선.발해 등 고구려 전후의 역사와 관련된 국가에 대한 연구 ▶고구려 지역의 성씨와 민족을 분석한 연구▶정부의 성격과 구성에 대한 연구 ▶국제법상의 문제와 관련된 연구 ▶백두산을 둘러싼 국경문제를 다룬 연구 ▶'삼국사기'를 비롯한 한국고서 분석 등 국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모든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이 내용을 분석한 한 조선족 학자는 "연구경향에서 중국 영토문제를 중화민족 중심으로 인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중국의 사학계에서 역사상 중국 강역(疆域)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대두하면서 고구려를 중국 동북지역 지방정권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가 빠르게 확산됐고, 부여와 발해도 모두 중국 중원왕조에 귀속된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창호 학술전문기자 2003.8.6.중앙일보
고조선부터 백두산 국경문제까지 망라 - 국내 사학계의 반응
서병국(62) 대진대 사학과 교수는 지난 4월 중국 길림성동북사범대학 역사계(系.과) 권혁수 교수로부터 편지 한 통을 받았다. 서교수가 1997년 혜안출판사에서 펴낸 '고구려제국사'를 번역하도록 허락해달라는 내용이었다.
5월에는 연변대 서일범 교수가 이메일로 비슷한 제안을 해왔다. '고구려 관련 학술서 가운데 당신 책을 내가 뽑았으니 중국어 번역을 이해해달라'는 권유였다. 서교수는 처음에 중국내 고구려사 연구를 밀도있게 하려는 시도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곧 그 작업이 고구려사를 중국사 속에 밀어 넣으려는 국가사업임을 알고 우롱당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는 "고도의 문화적 침략책"이라고 분석했다.
북방사를 전공한 국내 학자들 가운데 서교수와 같은 제안을 받은 이는 많다. 송기호(47)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는 95년 출간한 '발해 정치사 연구'(일조각)를 번역하겠다는 중국 학자의 부탁을 차마 거절할 수 없었다며, "중국 정부가 지난 몇 년새 외국에서 이뤄진 발해사와 고구려사 연구 성과를 국가 차원에서 수집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형구(59) 선문대 역사학과 교수는 이런 중국의 움직임을 "신중화주의(新中華主義), 중국의 새로운 패권주의"라고 불렀다. 이 교수는 "중국이 이렇게 대대적인 국가사업을 펼치고 있는데도 우리나라는 문제의 심각성조차 깨닫지 못하고 있다"며 관련 기관과 학자들의 분발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재숙 기자 2003.8.6.중앙일보
"정부가 나서서 한국사 지켜야"
지난달 중앙일보가 보도한 "중국학계가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만들기 위해 5년간 약 3조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라는 기사는 충격이었다. 중국의 역사 왜곡 작업의 시작으로 봐도 무방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사실 중국은 이미 발해를 중국의 지방 정권으로 조작해 놓았고 최근 지린대학.랴오닝대학 등 대학 출판사에서 나온 역사교재에는 우리의 고조선사를 자기들의 역사에 편입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제 엄연히 객관적인 사료가 증명하는 고구려사마저 중국사로 만들고 있다는 얘기가 아닌가. 이는 한국을 아예 역사가 없는 나라로 격하시키겠다는 의도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충격적인 것은 우리 정부나 학계가 아무런 대응책을 강구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수천년 민족사를 고스란히 탈취당할지도 모를 상황에서 이는 너무 한심해 보인다. 중국의 경우 우리의 '동북아 중심국가 다짐' 그 자체를 놓고 용어를 트집잡아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항의한 일이 있지 않았던가.
오늘 한국 사회는 여러 가지 심각한 병폐를 드러내고 있다. 그 근본 원인 중 하나는 국가와 민족에 대한 정확한 역사의식의 결여라고 생각한다. 광복 5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식민사관의 잔재를 탈피하지 못한 채 제 역사를 부정하고 깎아내리는 역사교육으로 일관한 것이 민족 정체성의 결여를 가져왔고 이것이 결국 자신감과 긍지의 상실로 이어지고 말았다.
"고구려는 한(漢)이 세운 '한'의 지방정권이 아니라 '한'이 수립되기 훨씬 이전인 하(夏)의 우왕(禹王)시대에도 중국에 이미 존재했다.(朝鮮句麗諸國禹時實皆在靑域)"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중국의 경.사.자.집(經.史.子.集)에서 발췌해 지금 4책으로 출판을 준비중인 '사고전서(四庫全書)중의 동이사료(東夷史料)'의 '경패(經稗)'라는 책에 나오는 기록으로 한국사 지키기의 희망을 보여주는 한 대목이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으니 고구려 역사를 지키는 일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 중국처럼 3조원은 차치하고 3백억원이라도 투자해 이를 국책사업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중국이 새로 들고 나올 대응논리에 더 적극적이고 슬기롭게 대처해야 하기 때문이다.
심백강(민족문화연구원장)
‘동북공정’ 제1차년도 프로젝트 일람표
1. 번역과제
1) 《朝鮮韓國史學系的古朝鮮, 夫餘硏究論著選編》, 孫啓林
2) 《朝韓學界高句麗的硏究文獻》, 權赫秀
3) 《國外渤海史硏究資料彙編》, 鄭永振
4) 《朝文相關重要著作和資料飜譯》, 張璉
5) 《中朝邊界史》- 白山資料院叢書選擇, 高敬洙
6) 《朝鮮半島現況硏究》, 張英
7) 《韓國和朝鮮的經濟, 社會狀況比較》, 吳建華
2. 연구과제
1) 《黑龍江通史》, 步平, 흑룡강성사회과학원
2) 《二十世紀中國東北邊疆文化硏究課題》, 黃定天, 흑룡강성사회과학원
3) 《好太王碑1580年》, 耿鐵華, 길림성통화사범학원
4) 《箕子 箕子朝鮮硏究》, 張碧波, 흑룡강성사회과학원
5) 《渤海國史》, 魏國忠, 흑룡강성사회과학원
6) 《渤海史論》, 朱國 , 흑룡강성考古硏究所
7) 《中國東北古民族發展史》, 李德山, 길림성동북사범대학
8) 《中韓相關姓氏族源考論》, 王雅軒, 요녕대학
9) 《民國時期東北地方政府治邊硏究》, 胡玉海, 요녕대학
10) 《東北民族區域設置硏究》, 程 娜, 길림대학
11) 《歷朝東北治邊硏究》1-7권, 徐德源, 鄭川水, 요녕대학
12) 《國際法 中朝邊界爭議問題》, 焦潤明, 요녕대학
13) 《簡明高句麗史》, 孫玉良, 길림성사회과학원
14) 《淸代邊疆城鎭硏究》, 李治亭, 길림성사회과학원
15) 《長白山地區歷史 文化及其歸屬問題硏究》, 劉厚生, 동북사범대학
16) 《東北漢族人口史硏究課題》, 孟廣耀, 흑룡강성사회과학원
17) 《中國歷代治理東北邊疆思想硏究》, 劉信君, 길림성사회과학원
18) 《渤海移民的治理 歸屬問題》, 武玉環, 길림대학
19) 《淸代鴨綠江流域的封禁 開發硏究》, 張杰, 요녕대학
20) 《鴨綠江以南的高句麗遺跡調査硏究》, 徐日范, 연변대학
21) 《東北邊疆多民族文化交流 融合硏究》, 正, 길림성사회과학원
22) 《僞滿時期東北邊界衝突 界務交涉硏究》, 王慶祥, 길림성사회과학원
23) 《中國東北 俄國經濟關係史》, 張鳳鳴, 흑룡강성사회과학원
24) 《俄國東部移民開發問題硏究》, 王曉菊, 흑룡강성사회과학원
25) 《“三國史記”詳注及硏究》, 劉子敏, 朴燦奎, 연변대학
26) 《俄羅斯遠東地區的中國人》, 張宗海, 흑룡강성사회과학원
2003.8.6.중앙일보